반응형

미국시간으로 3월 1일 오후 3시 (우리나라 기준, 3월 2일 오전 6시) 테슬라 인베스터데이(투자자의 날)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과연 올해 일론머스크는 어떤 빅뉴스로 투자자들을 놀라게 할 것인지 매우 기대가 되며,  발표가 예상되는 6가지 뉴스를 정리해 봤습니다.

 

 

테슬라 인베스터데이 시간

테슬라 인베스터 데이 포스터
ㅌ테슬라 인베스터 데이

테슬라 인베스터 데이 

- 시간 : (우리나라 기준) 3월 2일 아침 6시

 

6가지 주요 발표 예상

1. 저가형 EV "모델 2" 발표

테슬라는 이번 인베스터데이에서 중국과 유럽에서 경쟁할 수 있는 저가형 EV "모델 2"를 공개할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현재 발표된 포스터를 확대해 보면 기가 캐스팅으로 찍어낸 "모델 2"의 차체인 것처럼 보입니다. 모델 2를 발표가 원래 예견되어 있었기에 이번 인베스터데이에서 소개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소식입니다.

 

단 우려 점은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테슬라의 저가형 전기차 플랫폼은 중국의 전기차 회사 비야디(BYD)와의 경쟁에서 승리해야 합니다. 이번 인베스터데이를 기점으로 테슬라는 자체 공정의 원가절감 강점을 활용하여 시장 점유율을 잡기 위해 치킨게임에 본격적으로 들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2. 모델 3 업그레이드

최근에 테슬라는 "모델 3, 프로젝트 하이랜드"를 준비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기존의 모델 3 내부의 복잡성을 줄이고 디스플레이를 개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런 모델 3의 업그레이드 소식을 이번 인베스터데이에서 전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3. 새로운 EV 공장

최근 멕시코 대통령은 인터뷰를 통해 텍사스 국경 근처에 일론 머스크가 공장을 지을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그리고 테슬라는 4680 배터리 보호 및 "테슬라 세미" 조립을 위해 네바다 공장 확장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소식이 전해지게 되면 테슬라의 전기차 생산량이 증가할 것이라고 투자자들은 전망할 수 있을 것입니다.

 

4. HW 4.0

일론머스크는 테슬라 전기차에 들어가는 칩을 업그레이드하고 기존보다 많은 카메라와 레이더를 활용하길 원합니다. 따라서 운전자 지원 시스템이 추가로 업데이트된 하드웨어 제품군 발표가 기대됩니다.

 

5. 인공지능

최근 전 세계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ChatGPT와 관련하여, 일론머스크는 최근에 트위터를 통해 테슬라도 AI 챗봇을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얼마 전 미국에서 일론머스크가 ChatGPT에 대적하기 위해 새로운 AI 연구소를 설립할 것이라고 보도되었습니다.

 

6. 마스터플랜 3

아마 이번 인베스터데이를 통해 일론머스크는 새 미래 청사진을 공개할 가능성이 큽니다. 세 번째 장기계획 "마스터플랜 3"은 과연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지 모두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앞서 머스크는 최근 트위터에서 마스터플랜 3은 사람과 지구를 위한 지속가능한 미래 에너지 계획이라고 예고한 적이 있습니다.

 

 

테슬라 현재 주가 전망

테슬라 주가 차트 추이
테슬라 주가 분석

테슬라의 주가는 이번주 월요일 5.5% 급격히 상승한 이후 화요일 0.9% 하락하며 급격히 상승할 준비를 마쳤습니다. 테슬라 인베스터데이의 파급력에 따라 앞으로 주가의 큰 변동이 예상됩니다.

 

테슬라의 주가 패턴은 <컵 위드 핸들>입니다. 약세장에서 형성되어 11월부터 시작된 깊은 컵은 23년 1월 7일 101.81 달러의 저점을 찍고 고점 217.65달러까지 무려 114%가량 상승하였습니다. 현재는 약간의 조정을 받고 있으며 205.71 달러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테슬라 주식의 Buy point는 고점인 손잡이를 돌파하는 217.75달러입니다. 그러나 여전히 테슬라의 주가는 200일 이동 평균선(검은 선) 아래에 있습니다. 과연 이번 인베스터데이 이후에 200일 저항선을 뚫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테슬라 RS 상대강도 분석

1월에 저점 101.81 달러에서 약 2배 상승함으로써 테슬라의 RS 상대강도 지수(5일 기준)는 97까지 상승했습니다. 하지만 단기적인 상승 이기므로 인해 원래 측정방식인 1년 기준에서는 45밖에 되지 않습니다. 여전히 테슬라는 미국 시장 상승의 주도주만큼의 수익률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엔비디아가 2월 23일 무려 14% 급등을 하였습니다. 바로 22년 4분기 실적발표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올해 20% 급등 이후 조정을 받고 있던 나스닥 시장에 큰 활기를 주었습니다. 엔비디아의 주가 상승 이유와 앞으로 주가는 어디까지 올라갈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엔비디아 주가 상승 추이

엔비디아 주가 차트 - 컵 위드 핸들 패턴
엔비디아 주가 차트

엔비디아 주가는 22년 내내 하락하여 22년 10월에는 바닥을 형성하였습니다. 그 후 약간의 상승세와 조정을 거듭하던 중 23년 1월부터 140달러 선에서 현재 233달러까지 60% 상승하며 본격적인 상승세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그러던 중 2월 들어 약 10% 조정을 받고 바로 어제 14% 넘게 급등한 것입니다.

 

엔비디아의 주가 차트는 명확한 컵 위드 핸들(Cup with handle) 패턴입니다. 컵 위드 핸들은 제 블로그에 소개해 놓았으니 아래 링크 참고부탁드립니다. 

 

Cup with handle 주식투자 오늘의 독서

Cup with Handle 기본 개념 Cup with handle 모양이 만들어지기 전 조건은 상승이 있어야 합니다 (적어도 30% 이상, RSI 증가, 거래량 큰 폭 증가). 이후 조정(12 ~ 33% 이상)을 받으며 컵의 바닥에서 둥근 U자를

shareideaswithssy.com

 

최근에 22년 3월부터 4월까지 30% 넘는 짧은 상승세 이후 cup base를 예쁘게 형성한 후 23년 2월부터 짧고 명확한 손잡이를 만든 후 어제 엄청난 거래량과 함께 손잡이를 돌파했습니다. 

 

엔비디아 주가 상승 이유

엔비디아의 22년 4분기 실적 발표가 있었습니다. 엔비디아의 실적은 월가 전망 예상치를 크게 상회하였습니다. 매출액은 예상치 60.19억보다 높은 60.51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예상치보다 0.53% 높았습니다. 주당순이익은 예상치 0.80달러보다 높은 0.88달러를 기록하여 예상치보다 9.46% 높았습니다. 

 

특히 인공지능 반도체를 포함한 데이터 센터의 매출 증가가 눈에 띄었습니다. 데이터 센터의 매출은 연간 기준으로 11% 증가한 36억 2천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22일 실적 발표 후 엔비디아 주가는 시간 외 거래 8% 넘게 크게 상승했고 23일 장 개시 이후에 16%가 까지 상승 후 14% 상승으로 장을 마감하였습니다. 

 

엔비디아의 실적은 분명히 전년 동기 대비 좋지는 않았습니다. 매출과 순이익 모두 감소하였습니다. 하지만 투자자들은 ChatGPT 붐과 함께 인공지능의 발전에 기대를 높이고 있기에 주가는 상승하였습니다.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는 인공지능에 주로 이용되는 반도체로 ChatGPT와 같은 AI 챗봇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센터 서버 구축에 필수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엔비디아 주가 전망

엔비디아 RS강도 80점 이상 돌파
엔비디아 RS 상대강도 차트

엔비디아의 주가는 당분간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판단됩니다. RS 상대강도는 큰 기울기로 솟구치고 있고 80점을 넘어서 90점을 향해 갈 것으로 보입니다.

 

기업의 기본적 분석에서는 엔비디아는 인공지능 기반의 데이터 센터에서 매출의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있으며 관련 반도체를 최고의 품질로 생산할 수 있는 주도 기업임이 확실시됩니다.

 

인공지능은 ChatGPT 열풍과 함께 미래를 이끌어갈 혁신적인 주도산업이 되고 있으며 이 중심에 엔비디아가 있다는 것은 누구든지 인정할 것입니다. 이것은 CANSLIM 투자 이론에서 'N'에 해당됩니다. 또한 이익 성장이 올해 1분기부터 다시 상승세로 전환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1분기 월가의 전망은 주당 순이익이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차트를 보는 기본적 분석에서는 컵 위드 핸들 패턴을 형성하여 매우 높은 거래량과 강한 상승세로 손잡이를 돌파했습니다. 보통 최고의 주식들에게 이런 현상을 많이 볼 수 있기 때문에 트레이더로서는 꼭 눈여겨보아야 하는 차트 패턴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갤럭시 S23이 역대급 사전 판매량 109만 대를 기록하며 전작 갤럭시S22 사전 판매량을 뛰어넘었습니다. 그에 따라 올해 상반기 갤럭시s23 실적 호조를 기대하는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갤럭시s23의 매출 상승과 함께 관련 부품 제조 기업들의 주가도 상승할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갤럭시s23 관련주 중 부품 제조 회사에 대한 주가 전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갤럭시s23-사전판매량-호황-관련-뉴스
갤럭시s23-역대급-사전판매-기록

삼성전기

삼성전기-주가-일간-차트
삼성전기-주가-차트

동사는 수동소자(MLCC, 칩인덕터, 칩저항)를 생산하는 컴포넌트 사업부문, 카메라 모듈/통신모듈을 생산하는 광학통신솔루션 사업부문, 반도체패키지 기판을 생산하는 패키지솔루션 사업부문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지역별로는 수원에 위치한 본사를 포함 국내에 총 3개의 생산기지(수원, 세종, 부산)와 해외 총 6개의 생산기지(중국, 필리핀, 베트남)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컴포넌트 부문 매출 비중이 44.25%로 가장 큽니다.

 

삼성전기 주가는 지난 10월에 바닥을 찍고 상승 추세에 있습니다. 현재 주가는 2월 20일 기준 152,700원에서 마감하였습니다. 특히 지난주까지 상승 추세가 조정을 받고 있다가 2월 16일 부로 외국인 순매수 17만을 기록하며 폭발적인 상승을 보여주었습니다.

 

엠씨넥스

엠씨넥스-주가-일간-차트
엠씨넥스-주가-차트

2004년 CCM기술을 기반으로 설립한 영상전문기업으로써 휴대폰용 카메라모듈과 자동차용 카메라모듈을 주력제품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휴대폰용 카메라모듈, 자동차용 카메라모듈, 휴대폰용 엑츄에이터, 생체인식모듈, 멀티 카메라모듈, 블랙박스용 카메라모듈, 로봇용 카메라모듈, CCTV용 카메라모듈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등에 프리미엄 스마트폰부터 보급형 스마트폰까지 라인업을 다양화하여 카메라 모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엠씨넥스 주가는 아쉽게도 몇 개월 동안 바닥을 다진 후 상승하다 다시 한번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아직 매수세가 들어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낮은 밸류에이션이므로 매수를 고려해 볼 만합니다.

 

파트론

파트론-주가-일간-차트
파트론-주가-차트

동사는 2003년 1월 28일 설립되어 2006년 12월 13일 회사의 주식이 코스닥증권시장에 상장되어 매매가 개시되었습니다. 동사의 사업부문은 부품(휴대폰용, 전장용, 기타)과 제품(웨어러블기기, 의료기기, 전자담배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만도, 현대모비스, Lenovo, Huawei 등 국내의 휴대폰 업체와 기타 국내외 통신시스템, 가전, 자동차, 액세서리, 보안 업체 등 약 300여 개의 거래처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파트론 주가도 엠씨넥스와 마찬가지로 바닥을 다지고 있습니다. 파트론의 벨류에이션도 저렴해 보이기에 기업의 성장성을 한 번 검토하시고 매수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나무가

나무가-주가-일간-차트
나무가-주가-차트


동사는 2004년 10월 14일 설립되었으며 2015년 11월 12일 코스닥 시장에 주권 상장하였습니다. 주요 생산 제품은 스마트폰/태블릿 카메라 모듈, 3D 깊이 인식 카메라 모듈로 동사의 카메라 모듈 제품은 글로벌 카메라 고객사의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에 채용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삼성전자에 카메라모듈을 납품하는 카메라모듈 제조사들이 존재하며, 동사는 삼성전자 1차 협력업체에 속하고 있습니다.

 

나무가는 삼성전기와 마찬가지로 현재 상승 추세에 있습니다. 삼성전기와 다른 점은 상승 추세가 지난 22년 하락장에서도 지속되었다는 것입니다. 현재는 2월 달 들어 주가가 조정받고 있으나 12월, 1월, 2월 역대급 거래량과 함께한 외국인 매수세를 보여주며 상승모멘텀을 유지해 나가고 있습니다.

 

결론

오늘은 갤럭시s23 관련 부품주 4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아직 갤럭시s23 시리즈의 사전판매 결과만 나온 상황에서 섣부르게 관련 주식들을 보유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갤럭시s23 판매 실적의 신호탄은 나쁘지 않게 터트렸으니 앞으로 해외나 국내에서 매출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을지 계속해서 지켜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갤럭시s23 관련 부품주에 투자를 원하는 분들은 관련 뉴스 소식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관심을 가진 후 투자 판단을 내리시길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반응형

포스코홀딩스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굉장히 친숙한 기업입니다. 철강 기업의 대표 "포스코" 뿐만 아니라 전기차에 들어가는 이차전지 배터리 소재 사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포스코 홀딩스는 해외 공장 설립 등 성장주로 나아가기 위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포스코홀딩스를 분석해 보고 향후 주가가 어떻게 될지 전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업 개요

포스코홀딩스-로고
포스코홀딩스-로고

포스코홀딩스는 2022년 지주회사로 전환하였고,, 그룹 전반의 성장 전략을 수립하고 미래 사업 테마를 발굴하여 M&A등 신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연결대상 회사는 무려 총 179개사로 철강, 친환경 인프라, 친환경 미래소재, 기타 등 4개의 사업부문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이 중 친환경 인프라 부문은 무역, 건설, 에너지 등으로 세분화하였습니다.

 

1. 철강부문 

- 자동차, 조선, 가전 등 산업에 철강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국내 포스코, 포스코스틸리온을 비롯하여 해외까지 총 76개사의 연결대상 종속회사가 있습니다.

 

2. 친환경 인프라부문

- 무역, 건설, 에너지 등으로 연결기업을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무역에 포스코인터내셔널, 건설에 포스코건설, 에너지 부문의 포스코에너지가 있습니다.

-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무역업을 중심으로 자원개발, 생산 가공, 인프라 개발·운용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포스코건설은 에너지, 환경, 산업플랜트에서부터 주거시설, 초고층 빌딩, 도시개발, SOC사업 등의 다양한 분야에 진출하고 있는 종합건설회사입니다.

- 포스코에너지는 발전시설과 LNG터미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포스코홀딩스-전기차-배터리-재활용-사업-계획
포스코홀딩스-전기차-배터리-재활용-사업-계획

 

3. 친환경 미래소재부문

- 차세대 미래사업을 위한 가장 핵심 부문입니다. 리튬, 니켈, 양극재, 음극재, 리사이클링 등 EV 배터리 소재 및 수소사업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포스코케미컬 :국내 유일의 흑연계 음극재 회사이자 양극재 생산능력을 보유한 이차전지소재사입니다. 내화물의 제조, 판매, 시공 및 보수, 각종 공업로의 설계, 제작 및 판매, 석회제품 등의 제조 및 판매 등도 영위하고 있습니다.

 

4. 기타 부문

- 포스코홀딩스 포함 총 13개의 연결대상 종속회사가 있습니다. 신성장 사업발굴을 위한 투자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실적

1. 매출액: 19조 6000억 원 (전년대비 8.3% 감소)

2. 영업이익: 5485억 원 (전년대비 76.8% 감소)

- 글로벌 철강가격 하락으로 철강 자회사들의 수익성 악화

- 작년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 문제

 

주가 전망

포스코홀딩스-주가-주간-차트
포스코홀딩스-주가-차트

- 증권사들은 올해 유망 투자 종목으로 TOP3 (삼성전자, 포스코홀딩스, 현대기아차)를 뽑았습니다.

- 주가는 이미 올해 1월부터 약 23% 상승 중에 있습니다. 

- 포스코홀딩스는 지난 4분기 실적이 부진하였으나, 올해 1분기부터 중국발 모멘텀을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 중국의 철광석 수입가격이 반등하였으며 (80달러 초반 → 110달러 후반), 본격적인 철강 가격의 상승은 시작되지도 않았기 때문입니다.
  • 지난해 부진했던 철강주가 중국 리오프닝에 따라 세계적으로 철강 수요가 증가하여 주가가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포스코홀딩스-아르헨티나-리튬-생산-공장
포스코홀딩스-리튬-공장-증설

-  증권가는 2차 전지 업종 대표 주도주로 포스코홀딩스를 뽑았습니다.

  • 리튬, 니켈 등 배터리소재 원료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기 때문이며, 향후 고성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 올해 1분기부터 본격적인 실적 중장기적 리튬 신사업 모멘텀이 유효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을 이끌어갈 주도주

폐배터리-재활용-전기차-시장
폐배터리-전기차-활용

포스코홀딩스는 올해를 기점으로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참여할 계획입니다.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은 2040년 약 20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 먹거리 시장입니다.

- 포스코홀딩스는 올해 리사이클링 상/하 공정 완공 가동을 시작하였습니다. 

- 최근 중국 화유코발트와 합작하여 전남 광양 율촌산단에 위치한 포스코 HY클린메탈 공장 준공을 하였습니다.

  • 5월 초도 제품 생산 뒤 인증을 거쳐 9월부터 실질적인 매출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포스코홀딩스-폴란드-공장
포스코홀딩스-폴란드-공장

- 1월 폴란드 브젝돌니시 상공정 재활용 공장 'PLSC'가 양산을 시작했습니다.

  • 마찬가지로 5월부터 정상 조업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 포스코홀딩스가 주목받는 이유는 폐배터리 상공정에서 하공정으로 이뤄지는 수직계열화 사이클을 구축하였기 때문입니다.

폐배터리 상공정은 폐배터리를 회수, 분쇄해 열처리를 거쳐 이를 중간 원료인 블랙파우더로 만드는 과정입니다.

폐배터리 하공정은 상공정에서 만들어진 블랙파우더에서 금속을 추철하는 용매 추출 공정을 통해 이차전지 핵심소재인 니켈, 코발트, 리튬 등을 생산하는 과정입니다.

포스코홀딩스-폐배터리-리사이클링-사업-개요
포스코홀딩스-폐배터리-리사이클링-사업-개요

- 즉 PLSC가 블랙파우더를 생산하면 포스코 HY클린메탈이 PLSC에서 블랙파우더를 공급받아 탄산리튬과 니켈 코발트를 생산하는 수직계열화가 이뤄지는 것입니다.

  • PLSC는 올해 연간 약 8000t 생산할 것으로 기대 중이며, 포스코 HY클린메탈은 연간 탄산리튬 2500t, 니켈 2500t, 코발트 800t을 생산할 계획입니다.

- 올해 PLSC와 포스코 HY클린메탈의 실적은 각각 매출 700억, 1100억 원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포스코 HY클린메탈은 올해 말 정상 조업도를 달성하면 내년부터는 연 3000억 원까지 매출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거기다 EU의 최근 재활용 원료 사용 의무화 비율을 대폭 확대하였기 때문에 이는 포스코홀딩스에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에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

포스코홀딩스는 리튬과 폐배터리 사업을 중심으로 하는 이차전지 소재 산업에 대표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아직 매출이나 영업이익으로 실적화되지는 않았지만 미래 가능성을 봤을 때 투자 전망은 좋아 보입니다. 하지만 현재 밸류에이션에 대한 평가는 필요하기에 신중히 결정 후 투자 결정을 내리시길 추천드립니다. 포스코홀딩스와 마찬가지로 폐배터리를 주력으로 하고 있는 다른 기업에 대해 궁금하시면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이차전지 관련주 : 에코프로 <폐배터리 재활용 강자>

이차전지 관련주 시리즈 오늘은 "에코프로" 기업입니다. 에코프로 주가가 올해 들어 굉장히 급등했습니다. 코스닥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데요. 과연 어떤 기업이길래 이렇게 주가가 오르고 있는

shareideaswithssy.com

 

 

 

반응형
반응형

이차전지 관련주 시리즈 오늘은 "에코프로" 기업입니다. 에코프로 주가가 올해 들어 굉장히 급등했습니다. 코스닥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데요. 과연 어떤 기업이길래 이렇게 주가가 오르고 있는지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사업개요

에코프로는 여러 사업체를 갖고 있는 지주회사입니다. 당사가 맡고 있는 사업의 비중은 이차전지 재료사업이 주력이며 환경 관련 사업도 하고 있습니다.

 

1. 에코프로비엠 : 이차전지의 핵심 소재인 하이니켈 양극재를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양극재는 이차전지 가격의 40%를 차지하는 매우 중요한 소재인데요. 에코프로비엠에 대해서는 제가 관련 포스팅을 업로드한 내용이 있으니 아래 링크를 참조 부탁드립니다.

 

이차전지 관련주 : 에코프로비엠 <양극재 대장주>

진격의 2차전지주 올해 들어 2차전지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랠리를 펼치면서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권을 싹쓸이하고 있다. 양극재 생산 기업인 에코... www.sedaily.com 요즘 한국 주식시장에서 이차

shareideaswithssy.com

2. 에코프로머티리얼즈 : 이차전지용 하이니켈 양극재에 들어가는 핵심 소재 전구체를 제조하는 업체입니다. 바로 위의 양극재 생산 기업인 에코프로비엠에 전구체를 공급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에코프로이노베이션 : 리튬 이온 비즈니스 전문 기업으로 배터리에 들어가는 가장 기본적인 소재인 '하얀 석유' 리튬을 분쇄 및 가공하는 기업이며 수산화 리튬 전환 사업을 진행 중입니다. 양극재 내에서 리튬 비중이 높을수록 에너지 밀도가 높다고 저번 포스팅에서 배웠죠. 

 

4. 에코프로씨앤지 : 수명이 다한 폐배터리 및 배터리 스크랩에서 유가금속을 회수하여 환경 보전과 자원 순환에 앞장서는 글로벌 배터리 재호라용 전문 기업입니다. 양극재의 핵심 원료가 되는 리튬, 니켈, 코발트 등 유가금속을 폐배터리 및 배터리 스크랩에서 추출한 다음 리튬화합물과 전구체 원료인 니켈/코발트/망간 복합염을 제조합니다. 

  • 이차전지는 수명이 다하면 처리하기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차전지를 다시 재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갖고 있는 것이 그래서 무엇보다 중요한데요. 폐배터리 시장을 선도해야 이차전지를 주도할 수 있는 것입니다.

 

에코프로의 미래 :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

- 에코프로는 2022년 10월 미국 어센드엘리먼츠와 배터리 리사이클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습니다.

  • 어센드엘리먼츠에서 재활용된 배터리의 원료를 공급받기로 한 계약인데요. 이렇게 얻은 원료는 에코프로 포항캠퍼스에서 니켈, 코발트, 리튬 등 핵심 광물인 전구체로 추출됩니다.

출처 : 에코프로

- 에코프로가 폐배터리 사업을 통해 얻는 강점은 바로 이차전지 소재 관련 수직계열화 완성입니다.

  • 폐배터리 재활용으로 얻은 전구체는 자회사인 에코프로비엠에 공급되어 양극재로 최종 생산됩니다.
  • 폐배터리를 통해 얻는 원가절감뿐만 아니라 물론 자회사로부터 공급받기 때문에 물류 등 비용절감 효과가 커서 이차전지 원료의 원가경쟁력 확보가 가능합니다.

- 거기다 양극재의 주재료인 전구체는 이차전지의 단가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 이러한 원자재를 회수할 수 있는 수급 라인을 갖춰놓은 것만으로 경제적으로 큰 이득을 얻을 수 있겠죠.

- 추가적으로, 중국 등 배터리 자원 보유국에 대해 의존도를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 중국 없이 배터리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미국의 전기차 회사들과의 컨택이 좀 더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최근 주가

- 올해 초 11만 원 대를 형성하던 에코프로의 주가는 현재 20만 원을 돌파했습니다. 두 달 동안 약 100% 이상 증가하였는데요. 오늘 -8% 정도 조정받기는 했지만 여전히 에코프로의 밸류는 저렴합니다. 

- 시총 순위는 코스닥 20위에서 4위로 껑충 뛰어올랐습니다. 올해 외국인이 2931억 원을 순매수했다고 합니다.

 

주가 상승 이유

1. 역대 최대 실적

- 2021년 첫 1조 원 매출 달성 이후 지난해 2022년 매출 5조 원을 돌파했습니다. 1년 만에 이룬 성과인데요. 매출액은 전년 대비 275%, 영업이익은 616% 증가했습니다.

 

2. 전기차 시장에 대한 우호적인 정책 예고

1)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 (IRA) 후속 시행령

- IRA는 폐배터리 재활용 제품의 수혜 대상을 정해놓은 것인데요. 수혜 대상에 에코프로가 포함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 수혜 대상은 전기차 배터리 제조에 사용된 핵심광물이 일정 비율 이상 북미에서 재활용된 경우로 한정하였고, 위의 언급한 것처럼 에코프로는 미국 어센드엘리먼츠와 지난 10월 계약을 체결했기 때문입니다.

2) 유럽연합의 핵심원자재법 (CRMA)에 대한 수혜

- 유럽 내에서 생산된 원자재에 대해 세금 및 보조금을 지급한다는 정책입니다.

  • 에코프로는 헝가리 데브레첸에 양극재 공장을 조성하고 2024년부터 양산에 돌입할 예정입니다.

3. 수산화리튬 제2공장 신설로 생산능력 2배 확대

 

4.  배터리 소재 제조 수직계열화 완성

  • <에코프로 → 에코프로머티리얼즈 → 에코프로비엠  → 에코프로>로 이루어지는 Closed loop

 

결론

에코프로의 성장가능성은 너무나도 확실합니다. 이렇게 유망한 기업에 투자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언제 투자하느냐가 매우 중요하겠죠. 두 달 사이 주가가 급등해 버린 상황에서 에코프로 주식을 구매하시기가 망설여지실 것입니다. 현재의 밸류에서 이 주식을 사는 것이 아깝지 않으냐, 주가가 내려가더라도 내가 이 주식을 길게는 몇 년 동안이나 가지고 있을 수 있느냐는 신중히 고민하여 본인의 결심과 판단으로 행해져야 할 것입니다. 

 

 

이차전지 관련주 : 나노신소재 주가 급등 <CNT 도전재>

요즘 이차전지 관련주가 급등 중에 있죠. 그래서 이차전지 주가를 이끄는 대장주들이 무엇인가에 대해 관심이 쏠리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이차전지 관련주 중 차세대 배터리 필수 물질 "CNT 도

shareideaswithssy.com

 

반응형
반응형

요즘 한국 주식시장에서 이차전지 관련주가 정말 뜨겁습니다. 이차전지와 관련되었다면 너나 할 것 없이 5%, 10% 이상의 상승을 보이고 있는데요. 이차전지 관련주 중에 에코프로비엠은 이차전지 소재인 양극재를 만드는 기업입니다. 국내 1위 양극재 생산 기업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1위 기업입니다. 오늘은 이차전지 관련주 중 대장 에코프로비엠에 대해 자세히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사업 개요

에코프로비엠-로고
에코프로비엠

- 에코프로비엠은 리튬이온전지에 사용되는 4대 핵심요소 중 하나인 양극재(Cathode)를 생산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 니켈 함량 80% 이상의 하이니켈계 NCA 및 NCM 양극소재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 당사의 양극활물질은 원가가 높은 코발트를 적게 사용하는 동시에 니켈 함량이 높아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전기차용 소재에 매우 적합합니다.

 

★ 꼭 기억하세요 : 니켈 함량이 높으면 에너지 밀도가 높다!

1. 동일한 무게를 가진 전기차라면, 니켈 함량이 높은 배터리를 쓸수록 더 많은 에너지를 낼 수 있습니다.

2. 만약 동일한 에너지를 내는 서로 다른 배터리를 사용한다면, 니켈 함량이 높은 배터리를 쓰면 전기차를 더 가볍게 만들 수 있습니다.

 

- 또한 당사는 NCA와 NCM 타입의 제품 생산이 모두 가능하며, 각형/원통형/파우치형 등 고객사의 모든 배터리 타입에 대응이 가능합니다.

 

에코프로비엠 주가

에코프로비엠-주가-차트

에코프로비엠 주가는 현재 (2월 20일) 기준 147,300원에 있습니다. 2월부터 10만 원 대 이던 주가가 가파른 상승을 하고 있습니다. 바닥부터는 무려 50% 이상 상승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는 약간의 정체 구간에 있어 지금이 꼭대기라면 차익 실현을 해야 할 수 도 있고 아니면 앞으로 더 상승할 가능성도 있기에 주주분들이 많은 고민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NCA & NCM 양극재?

이차전지-NCA-NCM-양극재
이차전지-양극재

1. NCA는 리튬, 니켈, 코발트, 알루미늄을 주원료로 하는 양극활물질의 한 종류이며, 최종 니켈 함량이 80% 이상인 물질로 방전 용량이 매우 높아 고출력 고용량 배터리가 적용되는 소형전지에 적용됩니다. 최근 다수의 완성차 제조사들은 NCA 배터리를 적용한 전기차 출시를 확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당사는 NCA 타입의 양극활물질 중 주력 제품 'NCA034 시리즈' 개발을 통해 고출력 NCA 기반의 양극활물질 양산에 성공하였습니다.

 

2. NCM은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을 주원료로 하는 양극활물질의 한 종류로, 니켈의 함량에 따라 배터리의 용량 및 출력이 결정되게 됩니다. 당사는 2012년 "NCM811" 계열의 전기자동차용 양극소재 'CSG'개발을 시작하였고 2016년 세계 최초 양산화에 성공하였습니다. 당사의 CSG 제품은 하이니켈이 가진 높은 에너지 밀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망간의 합성을 통해 높은 안정성과 수명을 갖췄습니다. 또한 코발트 비중을 낮춤으로써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였으며, 전방 시장으로 부터 수요가 매우 빠르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 꼭 기억하세요 : 코발트 함량이 낮으면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

 

매출 및 수주상황

에코프로비엠-매출-호조-관련-뉴스
에코프로비엠-매출-증가세-지속

품목 제 7기 3분기
(2022년 9월말)
제 6기
(2021년 말)
제 5기
(2020년말)
양극재
(양극활물질)
수출 3,284,725 1,408,879 758,713
내수 114,236 71,699 92,272
3,398,961 1,380,578 850,985

보시다시피 당사는 매년 양극재 매출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습니다. 그만큼 매년 전기차 시장이 커지고 있고 그에 맞춰 배터리 수요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당사는 배터리 매출의 40% 비중을 담당하는 양극재 전문 기업이기 때문에 실적이 더 급격하게 좋아질 것입니다. 당사는 국내/해외 Cell 제조업체에 배터리용 양극재를 공급하여 매출을 얻고 있습니다.

 

EPS 및 매출액 성장률

에코프로비엠-주당순이익-매출액-분석
에코프로비엠-주당순이익-매출액

당사는 작년 4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습니다. 실적 컨센서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전년도 동기 대비 최근 분기(2022 4Q) EPS 성장률 79% 매출액 257% 성장

- 전년도 동기 대비 현분기(2023 1Q) EPS 성장률 167%, 매출액 191% 성장 

- 최근 3분기 EPS 평균 성장률 175%

- 분기 EPS 성장 가속화 예상 (2023 1Q)

- 작년 연 EPS 성장률 155%

- 3년간 EPS 성장률 624%

- 3년간 매출액 성장률 748%

 

이것만 봐도 엄청나게 고성장하는 기업입니다. 우리나라에 이렇게 괄목할만한 성장을 하는 기업을 찾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그런 면에서 에코프로비엠만큼 장래가 유망한 기업이 없을 것입니다.

 

최근 주가가 매우 급등하여 비싸다고 생각하시는 분도 계시겠지만, 작년 연 EPS 성장률 (155%) 대비 PER은 50밖에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연 PEG는 0.32로 1보다 작습니다. 이는 기업의 이익 상승률이 주가 상승률보다 훨씬 크다는 뜻입니다. 

 

RS 상대 강도

에코프로비엠-RS상대강도-차트
에코프로비엠-RS강도지수

마지막으로 에코프로비엠이 한국 주식 시장의 상승을 이끌고 있는 주도주인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RS 상대강도 지수를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RS강도 지수는 윌리엄 오닐이 만든 지표인데, 99점에 가까울수록 52주 동안 시장이 상승한 것 대비 더 높은 상승을 보인 주식을 뜻합니다. Trading view에서 보실 수 있으며 추후 포스팅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당사의 RS상대강도는 99점입니다. 현재 한국 시장을 이끌고 있는 주도주임에 틀림없습니다. 현재 이차전지 관련주들의 RS 상대강도가 매우 높습니다. 이는 이차전지 산업이 2023년 상반기를 이끌고 있는 주도산업임을 뜻합니다.

 

결론

에코프로비엠은 최근에 굉장히 주가가 많이 올랐습니다. 이럴 때 추격매수를 할 수도 있겠지만 분명히 급격한 상승 뒤에는 심한 조정이 올 수 있습니다. 당사의 펀더멘탈이 매우 좋기 때문에 이렇게 조정이 왔을 때 기회를 잡아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물론 주식을 매매하는 것은 본인의 책임이며 신중히 결정해야 합니다. 

 

 

오늘은 이차전지 관련주 에코프로비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요즘 이차전지 관련주들의 상승이 매우 눈에 띕니다. 이차전지 관련주 시리즈 다음 편에서도 이어서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차전지 관련주 : 나노신소재 주가 급등 <CNT 도전재>

요즘 이차전지 관련주가 급등 중에 있죠. 그래서 이차전지 주가를 이끄는 대장주들이 무엇인가에 대해 관심이 쏠리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이차전지 관련주 중 차세대 배터리 필수 물질 "CNT 도

shareideaswithssy.com

 

반응형
반응형

요즘 이차전지 관련주가 급등 중에 있죠. 그래서 이차전지 주가를 이끄는 대장주들이 무엇인가에 대해 관심이 쏠리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이차전지 관련주 중 차세대 배터리 필수 물질 "CNT 도전재"를 만드는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가진 "나노신소재" 기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업 개요

- 당사는 2000년 3월 15일 설립, 디스플레이, 반도체, 이차전지, 태양전지 등의 첨단 소재 제조업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 나노신소재는 원재료인 금속 또는 비금속 Metal을 구입하여 초미립 나노 분말로 합성하고 이를 다시 고체인 Target 형태나 Paste/Sol/Slurry 형태의 액상으로 제품화할 수 있는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이러한 기술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패널시장 및 태양전지 시장, 반도체 CMP공정에 투입되는 소재 제조 그리고 "이차전지 전극"에 적용되는 "CNT도전재"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CNT 도전재란?

- 배터리 기업들은 전기차 주행거리 향상 및 충전시간 단출을 위해 배터리의 "실리콘 음극재" 생산 비중을 높이고 있습니다. 무려 2025년까지 약 연평균 70% 고속 성장할 전망으로 보고 있습니다. 2021년 4000t이던 시장규모가 2030년 20만 t 이상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실리콘 음극재가 배터리에 본격적으로 사용되려면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수록 실리콘 입자가 파괴되는 문제점을 해결해야 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이 CNT 도전재입니다. CNT 도전재는 리튬 이온이 양극과 음극을 더 잘 오가도록 도와주는 물질로, 배터리 성능 향상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CNT 도전재는 일반적으로 양극재용 MWCNT(Muli-Walled CNT)와 음극재용 SWCNT(Singled-Walled CNT)로 나뉩니다. MWCNT는 기존 양극재 도전재로 사용 중인 "카본 블랙"보다 우수한 효과로 적은 양을 사용해도 더 나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MWCNT를 사용하면 도전재 양이 줄어든 만큼 양극재를 더 채울 수 있어 배터리 성능과 수명이 향상되는 것이죠. SWCNT는 실리콘 음극재의 실리콘 함량을 높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음극재 부피 팽창 문제를 제어합니다.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주요 제품 등의 매출 비율 (기준일: 2022년 9월 30일, 단위: 백만 원)

매출유형 제품 제23기
(2022 3Q)
제22기
(2021)
제21기
(2020)
제품 디스플레이용 투명전도성  전극 9,644
(15.8%)
7,100
(11.6%)
8,812
(18.2%)
반도체 웨이퍼 식각액 9,607
(15.7%)
10,828
(17.7%)
9,929
(20.5%)
Solar cell용 투명 전도성 전극 7,458
(12.2%)
8,098
(13.3%)
8,991
(18.5%)
이차전지 도전재
(CNT)
16,719
(27.3%)
11,867
(19.4%)
5,857
(12.1%)
열차단 필름 소재 및 기타 기능성 소재 17,773
(29.0%)
23,176
(38.0%)
14,935
(30.7%)
합계 61,201 61,069 48,524

- 위에 주요 제품 매출비율 표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나노신소재 기업이 점차 이차전지 도전재의 매출 비중이 늘고 있다는 점입니다.

- 타제품은 매출이 매년 지지 부진한 경향이 있으나 이차전지 도전재는 매출 증가가 폭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도 눈에 띕니다.

 

주당 순이익 (EPS)와 매출액 성장률

제가 기업을 고르는 기준인 윌리엄 오닐의 "CANSLIM"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C (최근 분기 이익증가율)

1. 현 분기 주당 순이익 증가율이 20% 이상이어야 한다.

2. 전년 동기 대비 최근 분기의 이익 증가율이 전년보다 높아야 한다.

3. 분기별 이익 증가율이 가속화돼야 한다.

4. 동기 대비 매출 증가율이 25% 이상되거나 지난 3분기 동안 증가율이 상승해야 한다.

 

 - 3월에 작년 4분기 실적발표를 앞두고 있어 정확한 데이터는 아니지만, 최근 분기인 22년 12월(4Q) 이익 증가율이 295%나 되고, 9월 대비 증가율이 가속화 (229% → 295%)되고 있으며, 22년 12월 이익 증가율은 21년 12월 이익증가율 보다 증가했습니다. (94% → 295%)

- 현 분기 (23년 3월) 주당순이익 예상치부터 큰 상승은 없어 보이나, 시장이 전망을 좋게 보고 있기 때문에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대하며, 작년 4분기 실적발표 이후 컨센서스 수정이 예상됩니다.

- 최근 분기 매출 증가율 25% 이상(48%)이며 지난 3분기 보다 매출 증가율 증가했습니다. 작년 4분기 실적 발표 매출액 예상치 45%로 비슷한 수준 유지 중이며, 시장 전망이 좋으므로 매출액 서프라이즈가 기대됨.

 

A (연간 이익 증가율)

1. 주당 순이익이 지난 3년 동안 매해 증가해야 한다.

2. 3년간 연 25% 정도의 높은 이익 증가율이 있어야 한다.

 

- 2021년부터 주당 순이익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연간 200% 이상 이익이 상승하는 높은 이익 증가율을 기록 중에 있습니다.

추가 정보 

- ROE는 14.8% 정도이며, 연 PER은 58 정도입니다.

- 놀라운 것은 2022년 EPS성장률 기준으로 연 PEG가 0.16밖에 안된다는 것입니다. PEG가 1보다 작으면 기업의 이익 성장률이 주가 상승 비율보다 크다는 것을 뜻합니다. 그래서 PER이 높은 성장주들은 PEG를 계산하여 폭발적인 이익증가율을 같이 고려해야 제대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RS 상대강도 지수 

주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RS(Relative strength) 상대강도 지수를 꼭 봐야 합니다. RS 지수는 Trading veiw를 통해 무료로 확인하실 수 있는데, 이는 추후 포스팅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RS지수는 윌리엄 오닐이 만들어낸 지표로써 기업이 52주간 시장 지수 (KOSPI, 또는 NASDQ 등) 대비 더 많이 상승했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시장보다 훨씬 많은 상승을 보이면 RS지수가 99점에 가까우며, 만약 50점 이하면 시장보다 상승하지 못했다는 것을 뜻합니다. 윌리엄 오닐은 RS 점수가 최소 70점 이상이 되는 기업을 사라고 추천하며, 이러한 기업들이 시장 상승을 주도한다고 말합니다.

 

위 그림을 보시면 상단 차트의 파란색 네모로 표시되어 있는 게 RS 상대강도 지수입니다.

- 나노신소재의 RS 상대강도 지수는 99점입니다. 현재 시장의 상승을 주도하고 있는 기업이라는 뜻입니다.

 

결론

오늘은 이차전지 관련주 나노신소재에 대해 분석해 봤습니다. 나노신소재는 이차전지 소재에 들어가는 CNT 도전재의 매출상승 비율이 커지고 있고, 2023년 이후 전기차 시장의 확대와 배터리 (Cell) 사의 수주 증가로 인해 이이고가 매출액이 크게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현재 주가가 적당한지 한 번 분석해 보시고 적절한 판단을 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이차전지 관련주 : 포스코케미칼 52주 신고가 달성 <양극재와 음극재>

안녕하세요. 최근에 이차전지 관련주가 북미산 배터리 광물/부품을 일정 비율 이상 사용한 전기차에만 보조금을 지급하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을 계기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shareideaswithssy.com

 

반응형
반응형

최근에 1220원대 까지 떨어졌던 환율이 2월 들어서 슬금슬금 오르더니 오늘 1282원까지 상승했습니다. 환율이 몇 주만에 꽤 많이 올라서 많은 분들이 이제라도 달러로 바꿔야 할지 말지 관심을 갖고 계실 텐데요. 그래서 오늘은 제 뇌피셜로 향후 환율 전망을 한 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환율 1300원 재진입 가능성

환율-연고점-돌파-관련-기사
환율-1300원-재진입-예상-기사

오늘 위와 같은 신문기사가 났네요. 환율이 1300원에 재진입할 가능성이 있다는 기사인데요. 오늘 2월 15일 원/달러 환율은 전날 종가보다 12.8원이나 올랐다고 합니다. 장중에는 1284.8원까지 오르면서 올해 2023년 들어 1280.9원 연고점을 돌파했다고 하는데요. 과연 무슨 이유로 이렇게 환율이 오르고 있는 걸까요.

 

 

1년간 환율 추이

원달러-환율-1년-차트
원달러-환율-추이-차트

위 그래프는 지난 1년 동안 매일 환율 변화 그래프입니다. 작년엔 급격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미국 연준의 자이언트 스텝 금리 인상 여파로 환율이 무려 작년 10월 경 약 1450원까지 올랐던 모습이죠.

 

아무래도 금리를 급격하게 인상하게 되면 경기침체가 올 가능성이 높고 주식이나 부동산 같은 자산보다는 현금을 보유하는 게 가장 좋죠. 그렇다 보니 자산시장의 하락 대비 현금 비중이 높아졌고, 현금 중에서도 경기침체가 오더라도 가장 잘 버틸 수 있는 강대국 미국의 달러를 갖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달러가 오르게 된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달러 강세도 한동안 이어지다가 11월부터 급격하게 하락하기 시작하여 연말에는 1300원대로 떨어졌는데요. 바로 연준이 금리를 인상하게 된 원인인 소비자 물가 지수(CPI)가 크게 하락하기 시작해서였습니다. 시장은 올해 2023년 물가가 잡힐 거라고 예상하면서 다시 돈은 자산시장으로 유입되고 원/달러 환율이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그렇게 1220원까지 하락하던 달러는 1100원으로 내려가나 싶었는데 현재 1280원대 까지 올라왔습니다. 과연 무슨 일일까요?

 

미국 연준의 긴축 장기화 우려

소비자 물가 지수가 잡히고 있긴 했지만, 세부 항목을 들여다보면 임금, 서비스 물가는 계속해서 상승 중이었습니다. 인플레이션을 잡기가 가장 힘든 게 바로 이 임금, 서비스 물가인데요. 이 물가가 하락하려면, 미국 대기업, 빅테크 기업들의 실업률이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미국-1월-비농업-고용지수-최저치-기록-기사
미국-1월-비농업-고용-및-실업률-최저-기록

그러나 지난 2월 초에 발표된 1월 미국 비농업부문 고용이 예상보다 높게 두 배 넘는 수준으로 나오면서 미국 고용시장이 견조하다는 것을 나타냈습니다. 그리고 실업률은 50년 만의 최저치를 나타냈습니다. 경기침체의 가능성이 예상보다 덜 하다는 말이죠. 

 

미국-전년-대비-소비자물가지수-CPI
미국-소비자물가지수

또한 어제 2월 14일 발표한 1월 CPI가 전년 동월보다(YOY) 예상치 6.2%보다 높은 6.4%가 나왔고, 전월 대비 (MOM)보다도 0.5% 상승해 직전 달보다 오히려 상승 폭이 커졌는데요. 이렇게 2월 들어 미국 1월 고용지표와 CPI가 예상과 다르게 나오면서 시장에서는 다시 인플레이션이 살아나고 연준이 긴축을 위해 금리를 추가로 더 많이 올리거나 높은 금리를 오래 유지해야 한다는 우려가 커졌던 것입니다. 이에 따라 다시 달러 강세가 서서히 시작되고 있는 것이죠.

 

결론

앞으로 그럼 달러 전망이 어떻게 그려질까요? 당장 3월 FOMC에서는 미국 연준의 파월 의장이 0.25%p 베이비 스텝 금리 인상을 예상하고 있고, 이게 마지막 금리 인상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약해지지 않는 고용지표와 CPI를 고려해서 금리를 몇 번 더 인상할 수도 있겠죠. 정답은 아무도 모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항상 시장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귀를 열어 놓고 대응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항상 자산시장의 변화를 살피고 금리 인상을 더 많이 하게 되면 그에 따라 대응하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